본문 바로가기
일상 사전

섭씨 화씨 간단 변환 방법

by 캣-츠비 2022. 5. 25.

해외 뉴스를 보면 종종 미국 어느 지역의 온도가 100도를 넘기면서 기록적인 폭염이라는 표현을 접할 수 있습니다.

100도면 물이 끓는 온도인데 어떻게 사람이 살 수 있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미국은 온도 단위를 화씨(°F, Fahrenheit)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화씨는 1724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인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Daniel Gabriel Fahrenheit)개념을 정립한 온도 단위인데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섭씨(°C, Celsius)와는 조금 다릅니다.

 

화씨는 물이 어는 점인 섭씨 0도를 32°F로 정의하고 물이 끓는 점인 섭씨 100도는 212°F로 정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대부분의 국가가 섭씨 온도를 공식 온도단위로 사용하고 있지만 미국, 미얀마, 라이베리아, 벨리즈 등 극히 일부 국가에서는 아직까지 화씨를 공식 온도단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미국과 같은 문화권인 영구과 캐나다도 과거에는 화씨 온도를 사용했지만 1960년대에 모두 섭씨 온도를 사용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고 합니다.

 

 

섭씨 -> 화씨 변환 공식


 

섭씨 <-> 화씨 간단 변환 방법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공식을 일일이 대입하자면 머리가 복잡하기 때문에 섭씨와 화씨를 간단히 변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섭씨를 화씨로 변환하고자 한다면 섭씨 온도에 1.8을 곱한 다음 32를 더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섭씨 10도라면 (10 x 1.8) + 32 = 50°F가 됩니다.

 

이 같은 공식으로 섭씨 5도 단위로 화씨를 간단히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섭씨 화씨
40°C 104°F
35°C 95°F
30°C 86°F
25°C 77°F
20°C 68°F
15°C 59°F
10°C 50°F
5°C 41°F
0°C 32°F

즉, 기온이 100°F를 기록했다면 우리나라의 섭씨 단위로는 37~38도로 소위 불볕더위를 기록한 것입니다.

 

 

화씨를 섭씨로 변환한다면 간단히 화씨 온도에서 32를 뺀 값을 2로 나눈 다음 1.1을 곱하면 어느정도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 화씨 100°F = (100 - 32)/2 x 1.1 = 37.4°C

 

 

 

이처럼 2가지 공식을 외우고 있다면 의외로 간단히 섭씨와 화씨를 변환하여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일상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etc 뜻  (0) 2022.07.16
무게 변환 1킬로는 몇 파운드 일까  (0) 2022.06.14
다운자켓 선택 - 필파워란?  (0) 2022.05.10
금 순도 읽는 방법  (0) 2022.01.29
시각, 시간 차이와 바른 표현  (0) 2022.01.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