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란 1961년 9월 창설된 국제 경제기구로 영어 정식 명칭은 Organized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입니다. 통상 영문 명칭의 앞글자를 따 OECD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OECD는 경제협의체에서 출발했지만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경제 협력을 넘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 기반한 정책 경험 공유, 공통의 문제 인식과 공동 해결, 모범사례 공유 등 회원국들이 국내외 정책을 조정할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해나가고 있습니다.
OECD 가입국가는 모두 38개 국가인데 2017년 기준 가입국가의 명목 GDP를 합하면 50조 달러 이상으로 세계 경제의 62% 가량을 차지할 만큼 회원국들이 국제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큽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OECD가입국과 가입 순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OECD 창립 회원국 - 19개 국가
미국 | 캐나다 | 영국 | 덴마크 |
아이슬란드 | 노르웨이 | 터키 | 스페인 |
포르투갈 | 프랑스 | 아일랜드 | 벨기에 |
독일 | 그리스 | 스웨덴 | 스위스 |
오스트리아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OECD 가입 국가 - 창립 이후
나라 이름 | 가입연도 |
이탈리아 | 1962년 |
일본 | 1964년 |
핀란드 | 1969년 |
호주 | 1971년 |
뉴질랜드 | 1973년 |
멕시코 | 1994년 |
체코 | 1995년 |
헝가리 | 1996년 |
폴란드 | 1996년 |
나라 이름 | 가입연도 |
대한민국 | 1996년 12월 12일 *29번째 가입국가 |
슬로바키아 | 2000년 |
칠레 | 2010년 |
슬로베니아 | 2010년 |
에스토니아 | 2010년 |
라트비아 | 2016년 |
리투아니아 | 2018년 |
콜롬비아 | 2020년 |
코스타리카 | 2021년 |
'경제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급 500만원은 중간 소득일까? - 2023년 기준중위소득표 (0) | 2022.12.09 |
---|---|
우리나라 국민연금 규모 (0) | 2022.08.21 |
세계에서 가장 큰 화물항공사는 누구일까? (0) | 2022.06.14 |
2022년 SW 기술자 평균임금 표 (0) | 2022.04.11 |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 2022년 (0) | 2022.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