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모두의 백과사전 by 캣츠비 입니다.
인류가 수학을 인지하기 시작한 때부터 인류는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한 때,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많은 이들의 노력으로 지구는 둥글다는 것을 증명해냈으며,
이제는 이 사실을 의심하는 이는 아무도 없습니다.
배가 다른 세계로 통하는 유일한 교통수단이던 시절에 사람들은 위도, 경도, 본초자오선, 적도를 결정하기 위해
가상의 선을 그려 항해에 필요한 정보를 얻었으며 남극과 북극은 세계의 북쪽과 남쪽 극단에 위치한
지구의 주요 기준점이었습니다. 이 두 점 사이의 중간에 그려진 가상의 선은 적도이고 적도 위 또는 아래에
그려진 선은 위도입니다. 북극에서 남극까지 이어지는 평행선을 경도라고 합니다.
날짜 변경선(International Date Line)은 북극에서 남극까지 이어지는 가상의 선 중 하나로 달력상의 2일을 구분합니다. 날짜 변경선은 시간을 측정하는 데 중요하며 즉각적인 의사 소통, 정치 및 상업에 중요합니다.
날짜 변경선이란?
날짜 변경선은 경도 180°선을 따라 태평양을 통과하는 가상의 선입니다.
그러나 이 선은 직선이 아니며 특정 지점에서 180° 자오선에서 벗어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자오선의 동쪽이나 서쪽을 벗어나 지그재그로 나타나는데, 이는 동일한 경제적, 정치적으로 동일한 국가에 속하는 장소는 동일 날짜로 묶기 위함입니다. 만약 날짜변경선이 180° 자오선을 따라 일직선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일부 지역에서는 가상의 선 하나를 두고 다른 날짜로 구분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것입니다.
북극에서 출발한 날짜 변경선은 동쪽으로 구부러져 축치 반도(러시아)와 브란겔랴섬의
동쪽을 지난 다음 베링 해협을 지나 세인트 매튜와 세인트 로렌스 섬의 서쪽으로 구부러집니다.
거기에서 선은 커맨더 제도와 알류샨 열도 사이를 지나 적도를 지날 때까지 180° 자오선으로 돌아갑니다.
적도 아래에서 선은 150° 자오선 근처에서 동쪽으로 멀리 흔들리며 키리바시를 경계로 합니다.
그런 다음 서쪽으로 돌아오지만 아메리칸 사모아와 사모아를 통과하여 동쪽으로 경도 180°로 유지됩니다.
마지막으로, 선은 남서쪽으로 구부러져 남극 대륙에 도달할 때까지 180° 자오선을 따릅니다.
왜 180° 자오선을 경계로 사용했을까?
날짜 변경선은 1884년 국제 자오선 회의(International Meridian Conference)에 의해
대략 180° 자오선을 따르는 가상의 선으로 설정되었습니다.
당시 회의는 26개 국이 참가했는데 대부분의 나라들이 아메리카와 유럽 대륙의 국가들이었습니다.
대서양 주변을 경계로 할 경우 미국, 캐나다와 유럽의 날짜가 달라지는 불편함이 있어 큰 국가가 없고
탁 트인 태평양을 가로지르면서 알래스카와 유라시아 대륙을 나눌 수 있는 경도 180도를 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동일 국가 간에 날짜 변경에 따른 혼란을 줄이기 위해 지금과 같이 지그재그로 경계를 구분하게 된 것입니다.
세계에서 해가 가장 빨리 뜨는 나라
이 날짜 변경선 덕분에 세계에서 가장 빨리 해가 뜨는 나라가 탄생했습니다.
남태평양의 섬나라 중 키리바시는 경도상으로는 하와이와 거의 동일한 선상에 놓여 있습니다.
이 나라는 1995년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날짜 변경선의 경계에 있어 같은 나라라도 섬에 따라
날짜가 달랐다고 합니다. 결국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1995년 1월부터 날짜 변경선을 동쪽으로 꺽어
모든 나라가 날짜 변경선 서쪽에 위치하게 하였으며, 표준시를 UTC +12, +13, +14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키리바시는 세계에서 가장 해가 빨리 뜨고 하루를 먼저 시작하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키리바시가 일요일 0시라며, 하와이는 토요일 0시가 되는 셈입니다.
댓글